TCP/IP는 IP(internet protocol)중심의 여러 프로토콜의 집합이며 인터넷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주고 받기위해 만들어낸 규칙을 말한다.
컴퓨터 간 데이터를 주고받을때 규칙이 다르다면 통신을 정상적으로 할수 없기때문에 프로토콜은 이러한 통신을 원할하게하기위한 일종의 약속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5단계의 계층으로 나눠놓은 이유는 통신의 편리를 위해서이다.
5계층은 레이어1의 physical 계층 레이어2의 data link 계층 레이어3의 network 계층
레이어4의 transport 계층 레이어 5의 application 계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데이터를 전송 하는 쪽은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상위계층(application)에서 하위계층(physical)으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반대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쪽은 하위계층에서 상위계층으로 각 계층을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받게 된다.
각 Layer별 설명을 하자만
캡슐화는 쉽게 말해서 응용계층에서 물리계층으로 플로가 진행되면서 헤더라는 정보가 하나씩 데이터에 붙는 것을 의미한다.
헤더에는 각 계층별로 관리하는 여러 관리사항이 붙어서 역 캡슐화 과정에서 계층을 잘 지나갈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헤더에 IP주소가 붙고 물리계층에서는 전기적 신호인 이진수(0과1)가 붙게된다.
다음으로는 데이터 송신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자
첫번째로 응용 계층에서 데이터가 생성된후 전송 계층에서 헤더를 데이터에 붙여서 세그먼트를 만든다.
두번째로 네트워크 계층에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위한 헤더를 세그먼트에 붙이는데 이를 패킷이라고 한다.
세번째로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패킷에 헤더와 오류 검출에 쓰이는 트레일러를 붙이며 이렇게 만들어진 프레임을
물리계층에서는 0과 1 비트로 구성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역캡슐화는 반대로 하위계층에서 상위계층으로 데이터가 전달되면서 헤더가 하나씩 벗겨지는 것을 말한다.
만약 역캡슐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재전송을 요구하거나 에러의 복구를 시도하게되는게 이 부분은 추후에 더 자세하게 다루겠다.
복잡하지만 이런 규칙을 통해서 데이터가 정확하고 안전하게 전달 될 수 있다.
[Network] MAC (0) | 2022.12.09 |
---|